티스토리 뷰
아래 포스팅에 대한 상위 메타 문서는 [RTFM] 매일 읽는 공식 문서 를 참고해 주세요.
원문 :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docs/current/reference/html/core.html#beans-java
Java 기반 컨테이너 설정
이번 섹션에서는 자바 코드에서 스프링 컨테이너 설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알아본다.
@Bean과 @Configuration
스프링의 새로운 자바 구성 지원의 중심 요소는 @Configuration
가 적용된 클래스와 @Bean
이 적용된 메서드이다.@Bean
은 메서드에서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할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구성하고, 초기화할 때 사용한다.@Bean
이 달린 메서드는 어느 @Component
클래스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보통은 @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사용된다.
@Configuration
선언의 가장 주된 목적은 빈 정의의 원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Configuration
클래스 내에서 다른 @Bean
메서드를 호출하여 빈 간 종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yService myService() {
return new MyServiceImpl();
}
}
@Configuration 이 선언되지 않은 클래스에서 @Bean 메서드가 선언되면 lite 한 모드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컴포넌트는 적용 가능한 각 컴포넌트 클래스에 대한 라이트 @Bean 선언을 통해 컨테이너에 관리 뷰를 노출할 수 있다.
일반적인 @Configuration 내 @Bean 선언과 달리, 라이트 @Bean 메서드는 빈 간 종속성을 선언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런 @Bean 메서드는 다른 @Bean 메서드를 호출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인 시나리오에서는 @Bean 메서드는 @Configuration 클래스 내에서 선언되어 "full" 모드로 사용되고,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하에 각 메서드 참조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 스프링 컨테이너 초기화
다음은 스프링 3.0에서 소개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이다.
이 다용도의 ApplicationContext 구현체는 @Configuration
클래스를 받아들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mponent
클래스나 JSR-330 어노테이션 클래스도 받아들일 수 있다.
@Configuration
클래스가 입력으로 제공되면 해당 클래스 자체가 빈 정의로 등록되고 클래스 내에 선언된 모든 @Bean
메서드도 빈 정의로 등록된다.@Component
및 JSR-330 클래스가 제공되면 빈 정의로 등록되고, 필요한 경우 @Autowired
나 @Inject
와 같은 DI 메타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ctx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yService myService = ctx.getBean(MyService.class);
myService.doStuff();
}
또는 다음과 같이 register()로 등록할 수도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register(AppConfig.class, OtherConfig.class);
ctx.register(AdditionalConfig.class);
ctx.refresh();
MyService myService = ctx.getBean(MyService.class);
myService.doStuff();
}
컴포넌트 스캔을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패키지 기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Configuration
@ComponentScan(basePackages = "com.acme")
public class AppConfig {
...
}
위 예제는 "com.acme" 패키지 하위의 모든 @Component
클래스를 찾아서 컨테이너에 빈 정의로 등록한다.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에서도 scan() 메서드로 위 스캐닝을 진행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scan("com.acme");
ctx.refresh();
MyService myService = ctx.getBean(MyService.class);
}
@Bean 어노테이션 사용
@Bean
어노테이션으로 메서드 레벨에서 메서드가 반환하는 타입으로 빈 정의를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기본적으로 메서드의 이름이 빈의 이름이 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TransferServiceImpl transferService() {
return new TransferServiceImpl();
}
}
만약 아래와 같이 구현체를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반환한다면, 빈 등록은 가능하지만 막상 해당 인터페이스에 여러 구현체가 존재할 경우 어떤 구현체를 빈으로 가질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가능하면 구체적인 구현체 타입으로 빈을 등록하는 것이 좋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TransferService transferService() {
return new TransferServiceImpl();
}
}
@Bean
으로 정의된 클래스는 라이프사이클 콜백을 지원하고, JSR-250의 @PostConstruct
와 @PreDestroy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이 초기화 메서드와 소멸 메서드를 지정할 수도 있다.
public class BeanOne {
public void init() {
// initialization logic
}
}
public class BeanTwo {
public void cleanup() {
// destruction logic
}
}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initMethod = "init")
public BeanOne beanOne() {
return new BeanOne();
}
@Bean(destroyMethod = "cleanup")
public BeanTwo beanTwo() {
return new BeanTwo();
}
}
또 필요하다면 name 프로퍼티로 이름을 지정하거나, alias를 지정할 수 있고, @Description
을 통해 빈에 대한 설명도 작성할 수 있다.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 사용
@Configuration
메서드는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되며, @Bean
메서드를 통해 빈을 선언하는 역할을 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BeanOne beanOne() {
return new BeanOne(beanTwo());
}
@Bean
public BeanTwo beanTwo() {
return new BeanTwo();
}
}
위와 같이 메서드를 통한 빈 간 종속성 설정은 @Configuration 클래스 내의 @Bean 메서드끼리만 가능하다.
일반 @Component 클래스 내에서는 빈 간 종속성을 선언할 수 없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ClientService clientService1() {
ClientServiceImpl clientService = new ClientServiceImpl();
clientService.setClientDao(clientDao());
return clientService;
}
@Bean
public ClientService clientService2() {
ClientServiceImpl clientService = new ClientServiceImpl();
clientService.setClientDao(clientDao());
return clientService;
}
@Bean
public ClientDao clientDao() {
return new ClientDaoImpl();
}
}
만약 위와 같이 인터페이스 타입(ClientDao)을 서로 다른 두 메서드에서 사용하고 있다면 (싱글턴 스코프에서) 두 개의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문제가 될 것 같이 보인다.
실제로는 @Configuration
클래스는 시작 시 CGLIB를 사용하여 서브클래싱되고, 하위 클래스에서 자식 메서드는 부모 메서드를 호출하고 새 인스턴스를 만들기 전에 캐싱된 빈이 있는지 확인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자바 기반 설정 구성
@Import
어노테이션은 여러 모듈화된 설정 파일들 간에 사용하는데, 다른 설정 파일을 불러올 때 사용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ConfigA {
@Bean
public A a() {
return new A();
}
}
@Configuration
@Import(ConfigA.class)
public class ConfigB {
@Bean
public B b() {
return new B();
}
}
위 예제에서는 ConfigB 파일만 컨텍스트에 로딩해도 A, B 빈들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컨테이너 초기화 로직을 훨씬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다.
사실 위 예제는 너무 간단하고, 좀 더 실용적인 시나리오를 살펴보자.
많은 경우 빈들은 서로 의존성을 가지며, 다른 설정 파일에 해당 의존성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XML 기반이라면 사실 문제될 것이 없는데, 컴파일러가 개입하지 않고, ref
속성으로 필요한 빈을 선언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Bean
메서드는 필요한 빈 의존성을 파라미터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erviceConfig {
@Bean
public TransferService transferService(AccountRepository accountRepository) {
return new TransferServiceImpl(accountRepository);
}
}
@Configuration
public class RepositoryConfig {
@Bean
public AccountRepository accountRepository(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JdbcAccountRepository(dataSource);
}
}
@Configuration
@Import({ServiceConfig.class, RepositoryConfig.class})
public class SystemTestConfig {
@Bean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
// return new DataSource
}
}
시스템 환경에 따라 설정 파일들을 조건적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Profile
어노테이션은 더 유연한 구조의 @Conditional
어노테이션을 통해 구현되고 있고, 이는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dition
클래스를 통해 동작한다.
Condition 인터페이스의 구현부를 보면 다음과 같이 matches() 메서드로 프로파일 조건을 체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Override
public boolean matches(ConditionContext context, AnnotatedTypeMetadata metadata) {
// @Profile 어노테이션 속성 읽어오기
MultiValueMap<String, Object> attrs = metadata.getAllAnnotationAttributes(Profile.class.getName());
if (attrs != null) {
for (Object value : attrs.get("value")) {
if (context.getEnvironment().acceptsProfiles(((String[]) value))) {
return true;
}
}
return false;
}
return true;
}
환경 추상화
Environment
인터페이스는 컨테이너 내에서 통합된 추상 개념이고, profiles와 properties라는 두 가지 중요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은 주어진 프로파일에 따라 각각 등록되는 빈 정의들의 논리적 묶음이다.
profile과 관련된 Environment
객체의 역할은 현재 어떤 프로파일이 동작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프로파일이 기본 설정으로 동작하도록 되어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properties는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아마도 많은 소스(프로퍼티 파일, JVM 시스템 프로퍼티, 시스템 환경 변수, JNDI, 서블릿 컨텍스트 파라미터, 애드혹 프로퍼티 객체, 맵 객체 등)들의 기원이 되는 항목이다.
properties와 관련된 Environment
객체의 역할은 프로퍼티를 구성하고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빈 정의 프로파일
빈 정의 프로파일은 코어 컨테이너에서 서로 다른 환경에 서로 다른 빈이 등록될 수 있는 매커니즘을 제공한다.
"환경"이라는 단어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서로 다른 어떤 것"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 기능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개발 환경에서는 인메모리 데이터소스를 사용하는 반면 QA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JNDI 데이터소스를 사용하는 것
- 퍼포먼스 환경에 배포할 때만 모니터링 인프라스트럭처를 등록하는 것
- AB 테스트 시 각각 서로 다른 빈들을 구성하는 것
DataSource
의 예를 생각해보자.
테스트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Bean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EmbeddedDatabaseBuilder()
.setType(EmbeddedDatabaseType.HSQL)
.addScript("my-schema.sql")
.addScript("my-test-data.sql")
.build();
}
다음으로 QA나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데이터소스가 애플리케이션 서버 내 JNDI 디렉토리에 등록되어있다고 가정해보자.
@Bean(destroyMethod="")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throws Exception {
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return (DataSource) ctx.lookup("java:comp/env/jdbc/datasource");
}
문제는 어떻게 현 환경에 맞게 두 개의 변수를 전환할 것인가이다.
빈 정의 프로파일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핵심 컨테이너 기능이다.
위 사례를 일반화하자면 상황 A에서 빈 정의의 특정 프로파일을 등록하고, 상황 B에서는 다른 프로파일을 등록하고 싶다는 것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
@Profile
어노테이션은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1개 혹은 그 이상의 프로파일들에 맞게 빈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Configuration
@Profile("development")
public class StandaloneDataConfig {
@Bean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EmbeddedDatabaseBuilder()
.setType(EmbeddedDatabaseType.HSQL)
.addScript("classpath:com/bank/config/sql/schema.sql")
.addScript("classpath:com/bank/config/sql/test-data.sql")
.build();
}
}
@Configuration
@Profile("production")
public class JndiDataConfig {
@Bean(destroyMethod="")
public DataSource dataSource() throws Exception {
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return (DataSource) ctx.lookup("java:comp/env/jdbc/datasource");
}
}
프로파일 문자열은 !
, &
, |
와 같은 연산자와 함께 구성할 수 있다.
또 다음과 같이 @Profile
어노테이션을 메타 어노테이션으로 활용해볼 수도 있다.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rofile("production")
public @interface Production {
}
@Profile
은 메서드 레벨에서도 등록할 수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dataSource")
@Profile("development")
public DataSource standaloneDataSource() {
return new EmbeddedDatabaseBuilder()
.setType(EmbeddedDatabaseType.HSQL)
.addScript("classpath:com/bank/config/sql/schema.sql")
.addScript("classpath:com/bank/config/sql/test-data.sql")
.build();
}
@Bean("dataSource")
@Profile("production")
public DataSource jndiDataSource() throws Exception {
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return (DataSource) ctx.lookup("java:comp/env/jdbc/datasource");
}
}
이제 환경을 구성했으면,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프로파일에 맞게 실행시켜야 한다.
프로파일 활성화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은 ApplicationContext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Environment
API에 대해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ctx.getEnvironment().setActiveProfiles("development");
ctx.register(SomeConfig.class, StandaloneDataConfig.class, JndiDataConfig.class);
ctx.refresh();
추가적으로, 활성화할 프로파일을 spring.profiles.active
프로퍼티로 선언할 수 있다.
-Dspring.profiles.active="profile1,profile2"
마지막으로, 프로파일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의 기본 프로파일은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프로파일이 지정된 상황이라면 기본 프로파일은 적용되지 않는다.
@Configuration
@Profile("default")
public class DefaultDataConfig {
// ...
}
PropertySource 추상화
스프링의 Environment
추상화는 프로퍼티 소스 계층 구조에 대한 검색을 제공한다.
ApplicationContext ctx = new GenericApplicationContext();
Environment env = ctx.getEnvironment();
boolean containsMyProperty = env.containsProperty("my-property");
System.out.println("Does my environment contain the 'my-property' property? " + containsMyProperty);
위 예제에서 현재 환경에 my-property 속성이 정의되어 있는지 스프링에 물어볼 수 있다.
이를 답하기 위해 Environment 객체는 PropertySource 객체들의 집합에서 검색을 수행한다.PropertySource
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추상이며, 스프링의 StandardEnvironment
는 두 개의 PropertySource(JVM 환경 프로퍼티, 시스템 환경 프로퍼티)로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StandardEnvironment
를 사용할 경우 env.containsProperty("my-property")
는 my-property
시스템 프로퍼티가 있거나 환경 변수가 있는 경우에 참을 반환할 것이다.
@PropertySource 사용
app.properties 파일에서 키-값 쌍을 정의한 경우 다음과 같이 해당 값을 가져올 수 있다.
@Configuration
@PropertySource("classpath:/com/myco/app.properties")
public class AppConfig {
@Autowired
Environment env;
@Bean
public TestBean testBean() {
TestBean testBean = new TestBean();
testBean.setName(env.getProperty("testbean.name"));
return testBean;
}
}
ApplicationContext의 추가 기능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
패키지는 프로그래밍 방식을 포함하여, 빈을 다루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org.springframework.context
패키지는 BeanFac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하고, 프레임워크-지향 방식의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들도 상속한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를 추가했다.
많은 사람들은 ApplicationContext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생성하는 대신, ContextLoader와 같은 지원 클래스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인스턴스화한다.
보다 프레임워크-지향 방식으로 BeanFactory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컨텍스트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기능도 제공한다.
MessageSource
를 통한 i18n(internationalization)-스타일의 메시지 접근ResourceLoader
를 통한 URL과 파일과 같은 리소스 접근ApplicationEventPublisher
를 통한 이벤트 발행 (ApplicationListener
를 구현한 빈들)HierarchicalBeanFactory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웹 계층과 같은 특정 계층에 각각 집중할 수 있도록 여러 계층 구조 컨텍스트를 로딩
MessageSource를 통한 국제화
ApplicationContext는 MessageSource 인터페이스를 확장하고 있기 때문에 i18n 메세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tring getMessage(String code, Object[] args, String default, Locale loc)
- 가장 기본이 되는 메서드로, MessageSource로부터 메시지를 조회한다.
- 적절한 지역이 없으면 기본 메시지를 사용한다.
- 라이브러리에 의해 제공되는 MessageFormat 기능을 사용해서 어떤 인자든 대체 값으로 넣어줄 수 있다.
String getMessage(String code, Object[] args, Locale loc)
- 위 메서드와 같으나 기본 메시지가 없어서, 적절한 지역 메시지가 없는 경우 NoSuchMessageException을 던진다.
String getMessage(MessageSourceResolvable resolvable, Locale locale)
- 위에서 사용된 모든 속성이 MessageSourceResolvable로 묶여서 사용된다.
ApplicationContext가 로딩될 때, 컨텍스트에 정의된 MessageSource를 자동으로 찾는다.
그 빈은 반드시 이름이 messageSource
여야만 한다.
빈을 찾으면, 위의 메서드를 통한 모든 호출은 메시지 소스로 위임된다.
메시지 소스 빈이 없으면, ApplicationContext는 해당 빈의 이름을 가진 부모가 있는지 찾기 시작한다.
만약 ApplicationContext가 아무 빈도 찾지 못한다면 비어있는 DeligatingMessageSource가 인스턴스화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essageSource resources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beans.xml");
String message = resources.getMessage("message", null, "Default", Locale.ENGLISH);
System.out.println(message);
}
표준 이벤트와 커스텀 이벤트
ApplicationContext 의 이벤트 핸들링은 ApplicationEvent 클래스와 ApplicationListener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된다.
만약 빈이 ApplicationListen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컨텍스트 내에 존재한다면, 항상 ApplicationEvent가 ApplicationContext에 발행될 때마다 빈에 알림이 전송된다.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표준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 ContextRefreshedEvent
- ContextStartedEvent
- ContextStoppedEvent
- ContextClosedEvent
- RequestHandledEvent
- ServletRequestHandledEvent
커스텀 이벤트를 만들 수도 있다.
public class BlockedListEvent extends ApplicationEvent {
private final String address;
private final String content;
public BlockedListEvent(Object source, String address, String content) {
super(source);
this.address = address;
this.content = content;
}
// ...
}
ApplicationEvent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EventPublisher의 publishEvent() 메서드를 호출하면 된다.
전형적으로 이는 ApplicationEventPublisherAware 를 구현한 클래스를 생성하고 빈으로 등록함으로써 수행된다.
public class EmailService implements ApplicationEventPublisherAware {
private List<String> blockedList;
private ApplicationEventPublisher publisher;
public void setBlockedList(List<String> blockedList) {
this.blockedList = blockedList;
}
public void setApplicationEventPublisher(ApplicationEventPublisher publisher) {
this.publisher = publisher;
}
public void sendEmail(String address, String content) {
if (blockedList.contains(address)) {
publisher.publishEvent(new BlockedListEvent(this, address, content));
return;
}
// 이메일 전송
}
}
스프링 컨테이너는 ApplicationEventPublisherAware를 구현한 EmailService 를 찾아서, setter를 통해 자기 자신을 주입한다.
이 과정에서 ApplicationEventPublisher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와 소통할 수 있게 된다.
커스텀 ApplicationEvent를 받기 위해서는, ApplicationListener 를 구현한 클래스를 생성하고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면 된다.
public class BlockedListNotifier implements ApplicationListener<BlockedListEvent> {
private String notificationAddress;
public void setNotificationAddress(String notificationAddress) {
this.notificationAddress = notificationAddress;
}
public void onApplicationEvent(BlockedListEvent event) {
// notificationAddress를 통해 적절한 알림 발송
}
}
ApplicationListener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타입으로 제네릭화된다.
즉, onApplicationEvent() 메서드는 다운 캐스팅이 필요하지 않고 타입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원하는 만큼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벤트 리스너는 이벤트를 동기식으로 수신한다.
즉, 모든 리스너가 이벤트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publishEvent() 메서드가 차단된다.
이런 동기 및 단일 스레드 방식의 장점 중 하나는 리스너가 이벤트를 수신할 때 트랜잭션 컨텍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발행한 곳의 트랜잭션 컨텍스트 내에서 작동한다는 점이다.
이벤트 수신에 대한 다른 전략이 필요하면 ApplicationEventMulticaster, SimpleApplicationEventMulticaster를 참고하면 된다.
어노테이션 기반으로도 리스너를 등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필요도 없고, 메서드 이름도 자유로워진다.
public class BlockedListNotifier {
private String notificationAddress;
public void setNotificationAddress(String notificationAddress) {
this.notificationAddress = notificationAddress;
}
@EventListener
public void processBlockedListEvent(BlockedListEvent event) {
// notificationAddress를 통해 적절한 알림 발송
}
}
여러 개의 이벤트를 수신해야하거나 파라미터 없이 메서드를 정의하고 싶은 경우는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도 있다.
@EventListener({ContextStartedEvent.class, ContextRefreshedEvent.class})
public void handleContextStart() {
// ...
}
이벤트 수신 후 또 다른 이벤트를 발행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반환값으로 이벤트를 줄 수도 있다.
@EventListener
public ListUpdateEvent handleBlockedListEvent(BlockedListEvent event) {
// notificationAddress를 통해 적절한 알림 발송
// 그리고 ListUpdateEvent 발행
}
특정 리스너가 비동기적으로 이벤트를 받아서 작업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은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EventListener
@Async
public void processBlockedListEvent(BlockedListEvent event) {
// BlockedListEvent가 별도의 스레드에서 수행된다.
}
비동기 이벤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만약 비동기 이벤트 리스너가 예외를 던진다면, 이는 요청자에게까지 전파되지 않는다.
- 비동기 이벤트 리스너 메서드는 반환 값으로 다른 이벤트를 주어 새로운 이벤트를 발행할 수 없다.
만약 다른 이벤트를 이어서 발행해야 한다면 수동으로 이벤트를 발행하기 위해 ApplicationEventPublisher를 주입해야 한다.
이벤트 리스너 간 순서를 지정할 수도 있다.
@EventListener
@Order(42)
public void processBlockedListEvent(BlockedListEvent event) {
// notificationAddress를 통해 적절한 알림 발송
}
제네릭을 사용하여 이벤트 구조를 추가로 정의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이 EventCreatedEvent<T>
를 사용하면 생성되는 엔티티의 타입을 지정하여, Person에 대한 EntityCreatedEvent만 수신할 수 있다.
@EventListener
public void onPersonCreated(EntityCreatedEvent<Person> event) {
// ...
}
낮은 수준의 리소스에 대한 편리한 접근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는 Resource 객체를 로드할 수 있는 ResourceLoader이다.
Resource는 JDK의 java.net.URL
클래스보다 더 본질적으로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클래스이며, 사실 Resource 구현체가 URL 클래스를 감싸고 있다.
Resource는 클래스패스, 파일 시스템, 표준 URL 등 거의 모든 위치에 있는 낮은 수준의 리소스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리소스의 위치 정보가 아무런 접두사 없이 사용되었다면,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타입을 보고 적절한 리소스를 불러온다.
당신은 빈 초기화 시점에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ResourceLoader로 주입 받아서 사용하기 위해 ResourceLoaderAwar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적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해 Resource 타입 속성을 노출할 수도 있으며, 이는 다른 속성과 마찬가지로 주입될 것이다.
이러한 리소스 속성을 간단한 문자열 경로로 지정하고 빈이 배포될 때 실제 리소스 객체로 자동 변환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BeanFactory
BeanFactory or ApplicationContext?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BeanFactory 대신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해야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빈 처리에 대한 완전한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이상 BeanFactory보다 권장된다.
다음은 BeanFactory에서는 제공하지 않지만 ApplicationContext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이다.
- 통합 라이프사이클 관리
- 자동 BeanPostProcessor 등록
- 자동 BeanFactoryPostProcessor 등록
- 편리한 MessageSource 접근
- 내재된 ApplicationEvent 발행 메커니즘
'RTFM'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FM] Spring Core - 04. Spring Expression Language (SpEL) (0) | 2021.07.21 |
---|---|
[RTFM] Spring Core - 03. Validation, Data Binding, and Type Conversion (0) | 2021.07.14 |
[RTFM] Spring Core - 02. Resources (0) | 2021.07.10 |
[RTFM] Spring Core - 01. The IoC Container (1) (0) | 2021.07.06 |
[RTFM] 매일 읽는 공식 문서 (0) | 2021.07.06 |